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3호 한국문화편지 3433호 (2016년 11월 23일 발행) 날 전복을 공물로 올리겠다고 하자 손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내의원 도제조가 입시(入侍)하자, 임금이 말하기를, “송이버섯・날 전복・새끼 꿩・고추장 만 있으면 밥을 잘 먹으니, 이로써 보..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23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2 한국문화편지 3432호 (2016년 11월 22일 발행) 시래기 엮어 달고 김장 서두르는 ‘소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2]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스무째로 소설(小雪)인데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붙은 이름입니다. 이 무렵은 추위가 시작되지만 한겨울에 든 것은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23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3431호 한국문화편지 3431호 (2016년 11월 20일 발행) 양반과 백성 사이 대립을 날카롭게 풍자…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탈춤이란 가면으로 얼굴이나 머리 전체를 가리고 사람이나 동물 또는 신(神) 등으로 분장하여 음악에 맞추어 춤과 대사로써 연극하는 것을 말..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23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0호 한국문화편지 3430호 (2016년 11월 18일 발행) 새벽닭은 누가 시켜서 울지 않는다며 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가녀린 여자에게 수갑을 채우지 마라 / 수갑 들고 군화발로 잡으러 온 순사 호통 치며 물리친 여장부 / 동학군 앞장선 남편 / 신혼 3일 만에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8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9호 한국문화편지 3429호 (2016년 11월 17일 발행) 청주의 재난을 면해준 “용두사터철당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절에 행사가 있을 때, 그 입구에는 “당” 곧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7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8호 한국문화편지 3428호 (2016년 11월 15일 발행) 3428. 왕세자지만 제자의 예를 다하는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왕세자입학도는 효명세자의 입학식 모습을 담은 그림입니다. 효명세자는 1817년 3월 11일, 아홉 살의 나이로 성균관에서 입학식을 치렀습니다.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6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7 한국문화편지 3427호 (2016년 11월 14일 발행) 만천교와 세 봉우리를 두드러지게 그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 ~ 1759)은 우리 산천을 가장 우리답게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을 창안해 그린 진경산수화의 문을 연 화가입니다. 그가 그..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5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6 한국문화편지 3426호 (2016년 11월 13일 발행) 이순지, 코페르니쿠스보다 100년 먼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이순지(李純之, 1406~1465)는 우리나라 과학발달의 전성기였던 세종시대의 문신의 한 명으로 정인지(鄭麟趾)・정초(鄭招)・흠지(鄭欽之)}..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4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5 한국문화편지 3425호 (2016년 11월 10일 발행) 이완용을 종용해 을사늑약을 막후 조정…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5]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908년 오늘은 소설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이 원각사를 세워 자신의 신소설 《은세계(銀世界)》를 처음 상연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학창시..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1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4호 한국문화편지 3424호 (2016년 11월 09일 발행) 옷감이나 종이가 아닌 나무에 새긴 탱화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전북 김제시에 있는 금산사 성보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421호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南原實相寺藥水庵木刻阿彌陀如來說..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