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7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3"

한국문화편지 3423호 (2016년 11월 09일 발행) 붓 잡을 줄도 모르는 사람까지 과거에 응…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금년에 낸 문제가 혹 다음해에 나오기도 하고, 서울에서 출제한 것이 혹 지방에서 나오기도 하며, 유생이 사사로이 지은 문제가 역시 국시(..

(얼레빗) 3421. 오늘은 입동, 시루떡 해서 고사 지내고 이웃과 나누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1. 7.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열아홉째로 겨울에 들어선다는 입동(立冬)입니다. 입동 무렵이면 밭에서 무와 배추를 뽑아 김장을 하지요. 입동을 앞뒤로 하여 닷새 안팎에 담근 김장이 맛이 좋다..

(얼레빗) 3420. 단순한 무늬가 돋보이는 <청자 철화 버드나무 무늬 병>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1. 4. 청자 종류에는 철회청자(鐵繪靑磁)도 있는데 회고려(繪高麗)화청자(繪靑磁)라고도 부릅니다. 이 철회청자는 순청자(純靑磁)에 철분물감으로 무늬를 나타낸 청자입니다. 그 철회청자 가운데 눈에 띄는 것으로 국립중앙박..

(얼레빗) 3419. 장수 황씨 문중에 전해오는 명주 ‘호산춘’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1. 3. “대쵸 볼 불근 골에 밤은 어이 뜯드르며 벼 뷘 그르헤 게는 어이 내리는고 술 닉쟈 체 쟝사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이는 황희 정승이 지은 시로 “대추볼이 붉은 골짜기에 밤은 왜 떨어질까? 벼를 베어 낸 그루터기..

(얼레빗) 3418. 궁중혼례모습이 그려진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lt;얼레빗으로 빗는 하루&gt;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1. 2.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733-2호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憲宗嘉禮陳賀圖 屛風)”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 &lt;헌종가례진하도 병풍&gt;은 8폭 병풍으로 1844년(헌종10)조..

(얼레빗) 3417. 오늘 《한국통사》 쓴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 서거한 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lt;얼레빗으로 빗는 하루&gt;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1. 1. “국체는 비록 망했어도 국혼이 소멸하지 않으면 부활이 가능한데 지금 국혼인 역사서마저 불태워 소멸하니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제2대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까지 지냈던 ..

(얼레빗) 3416. 정약용 부부의 사랑이 담긴 하피첩, 실학박물관서 전시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lt;얼레빗으로 빗는 하루&gt;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31.. “병든 아내가 치마를 보내 천리 밖에 그리워하는 마음을 부쳤는데 오랜 세월에 홍색이 이미 바랜 것을 보니 서글피 노쇠했다는 생각이 드네. 잘라서 작은 서첩을 만들어 그나마 아들들..

(얼레빗) 3415. 정유재란 때 일본에 끌려갔다 온 기록 《노인 금계일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21. 국립진주박물관에는 보물 제311호 《노인 금계일기(魯認 錦溪日記)》가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조 학자 금계 노인(錦溪 魯認, 1566∼1623)이 정유재란 때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남원성 전투에서 왜병에게 붙잡혀 일본에서 2년..

(얼레빗) 3414. 조선시대 종을 거느리지 못한 양반, 나들이도 못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27. “대개 사족(士族)이 서인(庶人)과 다른 점은 종의 소유에 있습니다. 지금 조정의 신하로서 종이 많은 사람이 얼마 없는데, 그나마 하루아침에 도망해 흩어져서 사라져버리면 사족이 그 집안을 보전하지 못할 것이니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