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71

(얼레빗) 3407. “물렀거라!”를 외치지 못하게 한 영의정 홍언필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17 영의정 홍언필이 밖에 나갔다가 집에 들어올 때였습니다. 하인들이 "물렀거라! 영의정 대감 행차시다."라고 외쳤습니다. 이에 깜짝 놀란 홍언필이 손사래를 치면서 "조용히 하거라."고 말..

(얼레빗) 3405. 조선시대 대표 도자기 백자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7. 순백색의 바탕흙 위에 투명한 유약을 씌워서 구운 자기를 백자(白磁)라고 합니다. 이 백자는 고려시대에도 빚기는 했지만 성리학의 나라 조선 선비들의 생각과 잘 맞아 떨어지기에 조선에서 성행했고, 조선시대를 대표하..

(얼레빗) 3405. 은둔한 최치원의 아픈 가슴, “비오는 가을밤에”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13. 秋風惟苦吟 가을바람 쓸쓸하고 애처로운데 擧世少知音 세상에는 알아줄 이 별반 없구나 窓外三更雨 창밖에 밤은 깊고 비는 오는데 燈前萬里心 등잔불만 고요히 비추어 주네 위는 신라시대 뛰어난 학자이자 문장가였던 ..

(얼레빗) 3404. 오늘은 고종이 대한제국 황제에 오른 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12. “천지에 고하는 제사를 지냈다. 왕태자가 함께 참석하였다. 예를 끝내자 의정부 의정(議政府議政) 심순택(沈舜澤)이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아뢰기를, "고유제(告由祭)를 지냈으니 황제..

(얼레빗) 3403. 미라와 함께 출토된 복식들, 중요민속자료로 지정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11 2004년 3월 12일, 문경시 산양면 연소리에 있는 한 무덤을 이장하던 중 키 150㎝ 정도의 미라와 함께 복식 그리고 관련 유물 74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옷의 주인은 16세기 말엽 인물로 짐작된다..

(얼레빗) 3402. 한글이름이 아니라 우리말(토박이말)이름 이어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02 “이름 높다는 사람들이 ‘우리말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말이며……’ 어쩌고 하는 소리를 한다. 우리말이든 남의 말이든 말은 어느 것이 더 과학적이고 어느 것이 덜 과학적이라고 ..

(얼레빗) 3401. 내일은 한로, 모레는 중양절, 국화전을 부쳐 먹을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7. 내일은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말뜻 그대로 찬이슬이 맺힌다는 24절기 열일곱째인 한로(寒露)이며, 모레는 우리 겨레가 명절로 지내왔던 중양절(重陽節, 重九)입니다. 한로와 중양절 무렵에는 국화전(菊花煎)을 지지고 ..

(얼레빗) 3400. 궁중 수방나인이 만든 최고 수준의 “봉황무늬 자수방석”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05. “(임금)이 일본국 대상(大相)에게 토산물을 내려 주었다. 그가 보내 온 사람에게 주어 보냈으니, 은준(銀樽) 1개, 도금은규화배(鍍金銀葵花杯) 1개, 은탕관(銀湯罐) 1개, 흑사피화(黑斜皮靴) 1개, 죽모자(竹帽子) 10개, 저포(..

(얼레빗) 3399. 북한산 비봉의 빗돌, 진흥왕순수비임을 확인한 김정희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5. 신라 제24대 진흥왕은 새롭게 영토로 편입된 지역을 두루 살피며 돌아다녔는데 이를 기려 이곳이 자국의 영토임을 드러내는 비석을 세웁니다. 이 때 세운 비석들이 모두 4기로 창녕신라진..

(얼레빗) 3398.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선돌은 어디에 있을까?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4. 경북 칠곡군 지천면에 가면 경상북도 기념물 제29호 “신동입석(新洞立石)”이 있습니다. 입석은 다른 말로 선돌이라고 부르는데, 이 선돌은 높이 4.5m, 밑둘레 2m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