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117

(얼레빗 제4800호) 51살 차이의 영조 임금과 정순왕후 혼례식

조선시대 때 임금이나 왕세자의 혼인은 나라의 큰 경사인데 《가례도감의궤》라는 책으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혼례식을 치르기 위해 총괄 본부인 '가례도감'이 구성되었고 총책임자인 도제조는 영의정 등 정승급에서, 부책임자인 도제는 판서급에서 임명했습니다. 도제 3인 가운데 2인은 호조판서와 예조판서인데 의식 절차는 예조판서가, 행사에 들어가는 전체 비용은 호조판서가 집행했지요. 그런데 《가례도감의궤》 가운데 66살의 영조 임금과 15살의 정순왕후가 혼인한 기록의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보물)》이 특히 눈에 띕니다. 51살이나 나이 차이가 나는 이 세기의 혼례식은 초간택, 재간택, 삼간택을 시작으로 납채ㆍ납폐ㆍ고기ㆍ책비, 친영ㆍ동뢰 등 6례의 전 과정이 상세히 기록되었습니다. 따라서 《영조정순왕..

(얼레빗 제4786호) 전 세계 4점뿐인 조선 16세기 나전함 귀국

지난 1월 11일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나라 밖에 있던 조선시대 나전함이 기증되었습니다. 이 나전함은 조선 16세기 나전칠기 공예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수작이라는 평가입니다. 이 기증품과 매우 유사한 조선시대 나전함으로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나전함 1점과 동경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본중요문화재 나전함 1점 등 전 세계에 4점만이 남아있는 것으로 희귀한데 그 까닭은 나전함의 소재가 나무여서 임진왜란 등을 겪으며 불에 타서 없어졌을 것이기 때문이지요. ▲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조선 16세기 귀한 나전함 이 나전함은 세로 31cm, 가로 46cm 정도로 귀중품이나 문방구 등을 보관하는 용도였을 것입니다. 칠을 하기 전 함을 직물로 싸, 습기로 나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했는데 이는 주로 고급 칠기를..

(얼레빗 제4783호) 흥선대원군 관복의 ‘기린무늬 자수 흉배’

국립중앙박물관에는 흥선대원군(1820∼1898)의 관복에 달았던 ‘기린무늬 자수 흉배’가 있습니다. 가로 21.5㎝, 세로 21㎝ 크기의 이 기린흉배는 구름무늬 비단 바탕에 약간 검은 빛이 도는 청색 단에 금실과 은실로 수를 놓았지요. 기린은 봉황, 거북이, 용과 함께 영험한 동물을 상징해왔습니다. 기린은 인(仁)을 존중하고 의(儀)를 지키는 명철한 동물로 어진 덕의 세상에 출현한다고 합니다. ▲ 국가민속문화재 , 국립중앙박물관 흉배는 조선시대 임금과 문무백관의 집무 중 입는 옷에 붙이는 것으로 품계에 따라 무늬를 달리하는데 자수의 섬세함과 다양한 무늬는 옷을 화려하게 꾸며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요. 《단종실록》 12권, 단종 2년 12월 10일 치 기록에 따르면 흉배의 무늬를 대군(大君)은 기린(麒麟)..

(얼레빗 제4781호) 우리와 닮은 친근한 모습의 ‘나한’상

국립전주박물관은 오는 2월 26일까지 특별전 “깨달은 수행자, 나한: 전라도와 강원도 나한의 만남”을 열고 있습니다. 나한(羅漢)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마음을 다해 수행하여 아무 괴로움도 없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했던 불제자들입니다. 그런데 이들은 깨달음을 얻은 뒤에도 열반(涅槃)에 드는 것을 미루고 중생 곁에 머물며, 불법(佛法)을 지키고 모든 사람이 깨달음에 이를 수 있도록 보살폈습니다. ▲ 영월 창령사 터 ‘옆을 바라보는 나한상’(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왼쪽)과 담양 서봉사 터 ‘수행하는 나한상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원래 강원도 영월 창령사(蒼嶺寺) 터에서 2001년 오백나한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오백나한은 국립춘천박물관은 물론 국립중앙박물관, 부산박물관에 이어 이제 국립전주박물관에서 특별전을 ..

(얼레빗 제4774호) 스스로 애꾸가 된 천재화가 최북

해바라기의 화가로 불리는 빈센트 반 고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서양화가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반고흐 자화상을 보면 귀 한쪽 없는 모습입니다. 그는 1888년 크리스마스이브에 신경과민으로 발작을 일으켜 귀의 일부를 잘랐다고 하지요. 그림을 잘 모르는 이들도 그런 고흐를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송곳으로 자기의 눈을 찔러 애꾸가 된 화원 최북이 있음을 아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 이한철 작 , 종이에 먹, 66×41cm, 개인 소장 최북(崔北, 1712~86)은 높은 벼슬아치가 와서 그림을 그려달라고 윽박지르자 “차라리 나 자신을 자해할지언정 남에게 구속받아 그림을 그리지 않겠다.”라며 송곳으로 자기 눈을 찔러 애꾸가 되었습니다. 고흐와는 달리 최북은 본인의 확고한 의지를 가진 행위를 한..

(얼레빗 제4755호) 진경산수화를 대표하는 걸작 <인왕재색도>

지난주 KBS1 텔레비전 ’다큐인사이트‘ 프로그램에서는 가 방영되었습니다. 국보 는 겸재 정선이 76살 때인 1751년(영조 27) 자기가 살던 지금의 효자동 쪽에서 보고 비 온 뒤의 인왕산 경치를 그린 것이라고 합니다. 삼성 고 이건희 회장이 가지고 있던 것을 유족들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것인데 올해 4월 28일부터 8월 28일까지 에 전시되었던 작품입니다. ▲ 국보 , 종이 바탕에 수묵담채. 세로 79.2㎝, 가로 138.2㎝, 국립중앙박물관 이 그림에는 특징 있게 생긴 인왕산의 바위를 하나하나 그려 넣었습니다. 그 아래에 안개와 나무들을 그려 넣어 단순하면서도 대담한 구도를 이룹니다. 특히 나무와 집들이 있는 가까운 곳은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인 부감법(俯瞰法)으로 그렸으며, 멀리 바라보이는 원..

(얼레빗 제4747호) 소가야의 단지에는 왜 사슴장식이 붙었을까?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아래위를 눌러 납작해진 공 모양의 몸통에 좁은 목과 넓게 되바라진 아가리를 가진 ‘사슴장식 구멍단지’가 있습니다. 어깨 쪽에는 짧고 통통한 몸통에 짧은 다리 네 개와 작은 머리를 붙인 사슴 두 마리가 붙어 있지요. 머리에는 아주 큰 뿔을 달았는데 왼쪽 사슴의 뿔은 온전하나 오른쪽 사슴의 뿔은 하나가 떨어져 아쉬움을 줍니다. ▲ , 가야 5세기, 높이 16.1cm 그런데 왜 5세기 가야시대에 빚은 이 단지에는 사슴이 붙어 있을까요? 사슴은 북방 아시아 여러 민족이 신성시한 동물로서 신앙 대상이었습니다. 또 사슴은 인류의 중요한 식량 자원 가운데 하나인데 우리나라에서도 충북 제천 점말동굴에서 사슴 머리뼈가 발굴되어 구석기시대부터 사슴 사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지요. 잘 알려진 국보 ..

‘윤봉길 의사 자필 유서’ 임시정부기념관에서 만나

한중수교 30돌을 맞아 대한민국 보물로 등록된 윤봉길 의사의 자필 이력서와 유서를 비롯한 백범일지 초판 서명본 등이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일반에 공개된다.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5일 “9월 6일(화)부터 12월 25일(일)까지, 서울 서대문구 임시정부기념관 1층 특별전시실에서 1992년 맺어진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아, 수교 이후 진행된 임시정부청사 복원 등 각종 유물 155점을 공개하는 특별전시를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금란지교(金蘭之交), 위대한 동행’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한중수교 이후 진행된 임시정부 청사 복원’과 ‘독립운동가의 유해봉환 사업’, ‘공동학술조사와 연구’ 등 3부로 나눠 전시된다. 1992년 맺어진 한중수교는 임시정부 청사를 비롯한 유적지를 찾아 보존하는 ..

민족 계몽을 꿈꾼 ‘대한민보(大韓民報)’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대한제국(1897~1910) 시기는 근대의 희망과 아픔이 공존했던 시기였습니다. 침략적 제국주의가 만연하던 시대에 우리나라로 침탈해 들어오는 외세를 막아내기 위해 무력투쟁(武力鬪爭)을 비롯한 여러 자강(自强)과 계몽운동(啓蒙運動)을 각계각층에서 펼쳤으나, 끝내는 그 빛을 보지 못하고 일제강점이라는 어두운 역사를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에 근대 문물이 들어오던 시기는 외세의 위협이 날로 늘어나는 때였기 때문에, 이때의 근대 문물은 이러한 어려움을 이겨내려는 방편으로 쓰이기도 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신문(新聞)’입니다. 그렇게 발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은 『한성순보(漢城旬報, 1883~1884)』였고, 그 후로 『한성주보(漢城週報, 1886~1888)』, 『독립신문(獨..

한·일 우호의 다리, 아사카와 다쿠미 형제

일본인 형제, 아사카와 다쿠미(1891∼1931)와 아사카와 노리타카 노리타카(1884∼1964)는 누구보다도 한국을 사랑한 사람들이다. 고향인 일본 야마나시에서 떠나와 한국에서 산 형제는 누구보다도 조선문화에 매료되었고 조선인의 진정한 친구였다. 특히 동생 아사카와 다쿠미가 마흔 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때 조선인들은 서로 그의 상여 메기를 자청했을 정도다. 아사카와 다쿠미는 지금 망우리공원 묘지에 잠들어 있으며 해마다 한국인들은 그의 ‘조선 사랑’을 기억하기 위해 그가 죽은 기일에 무덤에서 모여 추모제를 연다. ▲ 아사카와 다쿠미를 그린 영화 '백자의 사람'(왼쪽) 포스터와 생전의 아사카와 다쿠미(오른쪽) ▲ 아사카와 다쿠미 한일합동 추모제, 91주기 (이동식 작가 사진) 6월 18일 도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