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 33

(얼레빗 4455호) 영웅 한번 성내니 간웅이 거꾸러졌네

白日靑天霹靂聲 푸른하늘 대낮에 벽력소리 진동하니 大州諸子魂膽驚 6대주(大州)의 많은 사람들 가슴이 뛰놀았다 英雄一怒奸雄斃 영웅 한번 성내니 간웅(奸雄)이 거꾸러졌네 獨立三呼祖國生 독립만세 세 번 부르니 우리조국 살았다. ▲ 안중근 의사는 옥중에서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一日不讀書 / 口中生荊棘)”라는 글귀를 남겼다. 위는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총장과 외무총장 등을 지낸 신규식 선생이 안중근 의사의 거사를 보고 지은 시입니다. 오늘은 111년 전인 1909년 중국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동양평화를 깬 일본제국주의의 원흉 이등박문을 처단한 날이지요. 아침 9시 이등박문이 탄 열차가 하얼빈역에 도착했고, 잠시 뒤 그가 열차에서 내려 걸어갈 때 안 의사는 권총을 빼들고 이등박문을 향..

(얼레빗 4280호) 고개를 빳빳이 든 채로 세수한 신채호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 선생은 세수할 때 고개를 빳빳이 든 채로 물을 찍어다 바르는 버릇 때문에 마룻바닥, 저고리 소매와 바짓가랑이가 온통 물투성이가 됐다고 합니다. 선생은 자기가 옳다고 믿는 일이면 절대로 뜻을 굽히지 않았는데, 특히 일본이 지배하는 땅에서는 고개를 숙이지..

(얼레빗 4265호)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 선생

85년 전 오늘(1월 31일)은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李東輝) 선생이 심한 독감으로 세상을 떠난 날입니다. 선생은 젊었을 때 아버지의 주선으로 함남 단천군수의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통인(通引)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통인 시절 군수가 자신의 생일에 어린 기생에게..

(얼레빗 4219호) 109년 전 하와이로 떠난 사진신부

“199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 받은 심영신(沈永信, 1882~1975) 지사는 이른바 ‘하와이 사진신부’의 한 사람으로 건너간 분이다.” 이 내용은 이윤옥 시인의 《서간도에 들꽃 피다》 제7권에 나오는 심영신 여성독립운동가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심영신 지사는 이..

(얼레빗 4166호) 79년 전(1940년) 오늘 광복군 창설

“광복군은 한ㆍ중 두 나라의 독립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며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이 1940년 9월 17일 충칭에서 광복군을 창설하면서 창립 취지로 한 말입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군대를 창..

(얼레빗 4136호) 안희제 선생의 백산상회, 임시정부 자금줄

한국문화편지 4136호 (2019년 08월 05일 발행) 안희제 선생의 백산상회, 임시정부 자금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36][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일반적으로 그 논조는 총독부의 시정을 비난, 공격하고 세계 약소민족의 독립운동을 빙자하여 조선이 독립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풍자..

(얼레빗 4095호) 독립군, 봉오동전투서 왜군 크게 무찌르다

한국문화편지 4095호 (2019년 06월 07일 발행) 독립군, 봉오동전투서 왜군 크게 무찌르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95][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99년 전인 1920년 6월 7일이었습니다. 독립군은 홍범도 장군의 지휘 아래 마을 주민을 모두 대피시키고, 봉오동의 서산에 홍범도의 지휘부가, 동산..

(얼레빗 4047호) 심훈 선생이 서대문형무소에서 쓴 글

한국문화편지 4047호 (2019년 04월 02일 발행) 심훈 선생이 서대문형무소에서 쓴 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47][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2019년은 3.1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는 해입니다. 이때를 맞아 온 나라에서는 이를 기리는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 특히 지난..

(얼레빗 3997호) 이완용을 개 취급한 노백린 장군 순국한 날

한국문화편지 3997호 (2019년 01월 22일 발행) 이완용을 개 취급한 노백린 장군 순국한 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97][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93년 전인 1926년 오늘(1월 22일)은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총장을 지내고 독립군을 양성했으며, 미국에서 최초의 항일비행사 학교를 설립했던 노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