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7

(얼레빗) 3392. 고기 다루는 별사옹, 물 끓이는 탕수색이 있었던 수라간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26.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성종 16년(1485)부터 고종 31년(1894)까지 조선왕조를 통치하는 기본 법전이었습니다. 이 《경국대전》에 따르면 궁중음식을 맡아 운영하는 관청으로 사옹원을 두..

(얼레빗) 3391. 바느질 하면서 학문을 닦아 경서에 두루 통한 강정일당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23. 萬木迎秋氣 어느덧 나무마다 가을빛인데 蟬聲亂夕陽 저녁노을 어지러운 매미 소리 沈吟感物性 제 세상 다하는 게 슬퍼서인가 林下獨彷徨 쓸쓸히 숲속을 홀로 헤맸네 위 한시는 조선 후기의 여류문인 강정일당(姜靜一堂, ..

(얼레빗) 3390. 오늘은 추분, 선비는 졸 닦고 중용을 생각하고 공예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22. 낮때와 밤때가 똑 같다 하느니 오면 앗 읽고 달 돋으면 임 생각고 고요히 깊어가는 갈 선비는 졸 닦고 위 노래는 일본 교토의 한밝 김리박 선생이 쓰신 “갈 같 날”입니다. 여기서 ‘갈같날’은 추분(秋分)을 가리키는 토..

(얼레빗) 3389. 왕세자 책봉 때 쓴 죽책문, 대나무에 글씨를 새겼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21, 어린 원자가 자라나서 나이가 차면 선왕의 뒤를 이을 왕세자로 책봉됩니다. 왕세자의 책봉은 신하들의 요청으로 시작되는데 보통 8살 무렵에 하게 되지요. 원자의 나이와 학문이 세자로..

(얼레빗) 3387. 신라인의 미소, 백제ㆍ탐라의 미소도 있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19. 국립 경주박물관에 진열되어있는 기와 가운데 사람이 웃는 모습의 얼굴무늬수막새가 있습니다. “신라소면와당” 또는 "인면기와"라고도 하는데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름이 14cm..

(얼레빗) 3385. 큰 명절 한가위엔 거북놀이로 화합과 치유의 효과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14, 내일은 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한가위입니다. 이 한가위에는 여러 가지 세시풍속이 전해 오는데 그 세시풍속 가운데 민속놀이는 강강술래, 줄다리기, 가마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밭..

(얼레빗) 3384. 두 마리 사자가 가슴을 맞대들고 있는 '법주사석등'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13,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에 가면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이 있습니다. 이 석등은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얼레빗) 3383. 가을 들꽃 ‘사위질빵’, ‘수레나물’로 불러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12. 가을들꽃 가운데는 소담스럽고 아름다운 녀석 “사위질빵”도 있지요. 그런데 이 사위질빵이란 이름의 유래를 알 수 있는 기록은 없습니다. 사위질빵은 강원도 사투리라고도 하는데, 북..

(얼레빗) 3382. 단원풍속도에 나오는 ‘배자‘, 신라 때부터 입은 옷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9. “더할 수 없이 검약하여 의대(衣)는 화려한 무늬 놓은 비단을 취하지 않았으므로 곤룡포(袞龍袍) 이외에는 목면(木綿)과 명주ㆍ모시뿐이었다. 근간에 무늬 놓은 비단을 자주 볼 수 있기에 몇 해 전에 무늬 있는 옥색 비단..

(얼레빗) 3381. 쇠뿔로 만든 아름다운 ‘화각(華角)’ 공예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8. 쇠뿔로 만든 화각(華角) 공예는 빛깔과 무늬에서 장식성이 뛰어나 우리나라의 전통공예, 특히 목공예 가운데에서도 매우 특색이 있는 공예입니다. 또 화각공예는 나전칠기(螺鈿漆器)와 쌍벽을 이루는 고유의 전통 왕실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