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2호 한국문화편지 3512호 (2017년 03월 10일 발행) 일제강점기 전당포 이자 연 84%, 요즘 고리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2]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7 10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5 50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4 100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12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1호 한국문화편지 3511호 (2017년 03월 09일 발행) 신라 석탑의 으뜸, 분황사 모전석탑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주시 구황동 “분황사터”에 가면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국보 제30호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12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0호 한국문화편지 3510호 (2017년 03월 08일 발행) 명태, 조선 말기엔 땔나무를 쌓은 듯 흔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함경도 원산을 지나다 명태 쌓여 있는 것을 보았는데 마치 한강에 땔나무를 쌓아놓은 것처럼 많아서 그 숫자를 헤아릴 수조차 없었다.”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12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9호 한국문화편지 3509호 (2017년 03월 07일 발행) “갓 마흔에 첫 버선” 속담의 뜻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버선은 우리 겨레가 옷감으로 발 모양과 비슷하게 만들어 발에 신는 물건입니다. 그 버선은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 만드는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12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8호 한국문화편지 3508호 (2017년 03월 06일 발행) 만든 이와 만든 때가 새겨진 휴대용 오목해시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목해시계 곧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조선 세종 때에 처음 만든 이후 조선시대 말까지 계속해서 만들었고 가장 많이 만들어진 대표적인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12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7호 한국문화편지 3507호 (2017년 03월 03일 발행) 임진왜란 이전 중치막을 볼 수 있는 출토복식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 사람들이 입었던 옷은 지금 남아 있는 것이 없어서 문헌이나 벽화에 남아 있는 그림 따위로 짐작할 따름입니다. 다만, 옛 사람들의 무덤..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03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6호 한국문화편지 3506호 (2017년 03월 02일 발행) 영조임금 어머니 묘소를 그린 소령원도(昭寧園…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52년 동안 왕위에 있었던 영조임금의 어머니는 궁궐 안에서 우물물을 길어 나르던 무수리 최 씨였습니다. 그녀는 임금인 숙종의 눈에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03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5호 한국문화편지 3505호 (2017년 03월 01일 발행) ‘단산오옥’ 글씨 새겨진 고려 먹, 가장 오래…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5]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방사우의 하나인 먹 가운데 좋은 것은 손으로 들었을 때 느끼는 촉감과 무게, 눈에 보이는 형태, 냄새, 두드렸을 때의 소리들로 알 수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03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4호 한국문화편지 3504호 (2017년 02월 28일 발행) “김영란법”,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패두(牌頭, 장용위 소속 패의 우두머리)의 망장(望狀, 벼슬아치 후보 세 명씩 골라 올리는 보고서)을 임금께서 친히 보시고 낙점(落點)하였는가?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3.03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3호 한국문화편지 3503호 (2017년 02월 27일 발행) 페르시아에서 들어온 시금치, 조선 때 “적근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50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菠薐傳數名(파릉전수명) 시금치는 여러 명칭이 전해지는데 其始出波羅(기시출파라) 그 시작은 페르시아에서 온 것이네 我國..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