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레빗 3555호) 연한 녹색빛이 아름다운 영조임금의 도포 한국문화편지 3555호 (2017년 05월 10일 발행) 연한 녹색빛이 아름다운 영조임금의 도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55]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대구시 동구 중대동에 가면 파계사(把溪寺)라는 절이 있는데 이곳에 국가민속문화재 제220호 “영조대왕의 도포 (英祖大王의 道袍)”가 보관되..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11
(얼레빗 3554호) 동성애 문제 고려,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한국문화편지 3554호 (2017년 05월 09일 발행) 동성애 문제 고려,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5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제19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이 바로 오늘입니다. 그런데 이번 선거에서도 동성애가 이슈가 되었습니다. 그 동성애 문제는 관람객 1,200만 명을 돌파..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11
(얼레빗 3553호) 조선의 전통원리와 서양 자명종 기술을 접목한 혼천시계 한국문화편지 3553호 (2017년 05월 08일 발행) 조선의 전통원리와 서양 자명종 기술을 접목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5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국보 230호 “혼천의(渾天儀) 및 혼천시계(渾天時計)”는 조선 현종 10년(1669)에 천문학자이던 송이영이 만든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08
(얼레빗 3552호) 흰구름이 피어나는 듯 아름다운 조팝나무 꽃 한국문화편지 3552호 (2017년 05월 05일 발행) 흰구름이 피어나는 듯 아름다운 조팝나무 꽃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52]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요즈음 산과 들은 물론 집 주변에도 많은 꽃들이 흐드러지게 핍니다. 이때 피는 꽃 가운데는 가지마다 주렁주렁 매달린 희고 탐스러운 꽃이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08
(얼레빗 3551호) 나라 안에 유일한 고구려 석비 “충주 고구려비” 한국문화편지 3551호 (2017년 05월 04일 발행) 나라 안에 유일한 고구려 석비 “충주 고구려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5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충북 충주시 감노로(중앙탑면) 있는 충주고구려비전시관에는 나라 안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인 국보 제205호 충주 고구려비..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04
(얼레빗 3550호) 약재와 향신료로 쓴 후추, 14세기엔 중요 교역품 한국문화편지 3550호 (2017년 05월 03일 발행) 약재와 향신료로 쓴 후추, 14세기엔 중요 교역…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5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서울에 도착하자 잔치를 베풀어 접대하였는데 예조판서가 주관하였다. 술자리가 무르익자 다치바나 야스히로가 후추를 잔칫상 위에 흩..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04
(얼레빗 3549호) 만든 날을 또렷이 새겨둔 고려시대 ‘청동북’ 한국문화편지 3549호 (2017년 05월 02일 발행) 만든 날을 또렷이 새겨둔 고려시대 ‘청동북’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4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에는 보물 제1810호 ‘황리현’ 글씨가 새겨진 청동북 (黃利縣銘 靑銅金鼓)”이 있습니다. 이 청동북은 고려 선종 2..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04
(얼레빗 3548호) 흰구름 속에 온 봄, 굳이 시를 쓸게 뭐요 한국문화편지 3548호 (2017년 05월 01일 발행) 흰구름 속에 온 봄, 굳이 시를 쓸게 뭐요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4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未到雙溪寺(미도쌍계사) 쌍계사에 이르기 전에 先逢七寶僧(선봉칠보승) 먼저 칠보암 스님을 만났네 僧乎從我否(승호종아부) “스님, 저를 따르..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5.04
(얼레빗 3547호) 열네 살에 금강산을 오른 당당한 조선 여인 ‘김금원’ 한국문화편지 3547호 (2017년 04월 28일 발행) 열네 살에 금강산을 오른 당당한 조선 여인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4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금강산! 지금은 갈 수 없는 산이지만 조선시대만 해도 숱한 시인 묵객과 화가들이 금강산에 올라 시를 짓고 그림으로 남겼습니다. 금강..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4.28
(얼레빗 3546호) 안평대군의 꿈, 안견의 손끝에서 “몽유도원도”로 피어나다 한국문화편지 3546호 (2017년 04월 27일 발행) 안평대군의 꿈, 안견의 손끝에서 “몽유도원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4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깊은 잠에 빠져 꿈을 꾸었습니다. 꿈속에서 박팽년과 함께 산 아래 이르니, 우뚝 솟은 봉우리와 깊은 골짜기가 있고, 복숭아나무 수십..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7.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