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73

(얼레빗 3573) 오늘은 망종,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냅니다

한국문화편지 3573호 (2017년 06월 05일 발행) 오늘은 망종,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냅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7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아홉째인 “망종(芒種)”입니다. 망종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

(얼레빗 3572호) 평생을 배첩에 쏟은 한국 최고의 김표영 배첩장

한국문화편지 3572호 (2017년 06월 02일 발행) 평생을 배첩에 쏟은 한국 최고의 김표영 배첩장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72]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왜정 때 영향으로 표구사에서 도배도 했었어. 당시 인사동에 표구사가 여럿 있었는데 ‘박당표구사’가 유일하게 서화(書畵)를 다뤘어..

(얼레빗 3571호) 당당하고 풍만한 모양새의 “백자철화 매화대나무무늬 항아리”

한국문화편지 3571호 (2017년 06월 01일 발행) 당당하고 풍만한 모양새의 “백자철화 매화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7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국보 제166호 “백자철화 매화대나무무늬 항아리”가 있습니다. 이 백자항아리는 조선시대 것으로 ..

(얼레빗 3570호) 백제 장군과 병사들을 위로하는 제사 “은산별신제”

한국문화편지 3570호 (2017년 05월 31일 발행) 백제 장군과 병사들을 위로하는 제사 “은산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7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마을에는 별신당이라는 사당이 있습니다. 이 사당에서는 3년에 1번씩 1월 또는 2월에 “은산별신제(恩山..

(얼레빗 3569) 처마를 길게 내밀 수 있게 지은 “화암사 극락전”

한국문화편지 3569호 (2017년 05월 30일 발행) 처마를 길게 내밀 수 있게 지은 “화암사 극락…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에 가면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오래된 절 화암사花巖寺)가 있습니다. 이 절은 금산사에 딸린 절로 절을 지을 때..

(얼레빗 3568호) 조선시대 어린이 교재 《아희원람》을 아십니까?

한국문화편지 3568호 (2017년 05월 29일 발행) 조선시대 어린이 교재 《아희원람》을 아십니…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조선시대 서당에 처음 다니기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천자문(千字文)》,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따위는 기본 교재였습..

(얼레빗 3567호)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포항 중성리 신라비”

한국문화편지 3567호 (2017년 05월 26일 발행)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포항 중성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는 2009년 5월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에서 발견된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

(얼레빗 3566호)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한국문화편지 3566호 (2017년 05월 25일 발행)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리나라 사람이 독특한 화법으로 그린 수묵화와 채색화 따위를 통틀어 “한국화”라고 부릅니다. 그 한국화는 재료와 기법에 따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