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2

(얼레빗) 3239. 백제 사람들의 슬기를 엿볼 수 있는 김제 벽골제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8. 전북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에 가면 사적 제111호 “김제 벽골제 (金堤 碧骨堤)”라는 못 곧 저수지가 있습니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흘해왕 21년(330)에 “처음으로 벽골제를 만들었는데,..

(얼레빗) 3238. 손녀딸 시집보낼 때 무명이불 보낸 청백리 장응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7 조선 중기 문신 청천당(聽天堂) 장응일(張應一, 1599∼1676)은 대사간과 가선대부(조선시대 종이품의 문관과 무관에게 주던 품계)를 지낸 인물로 청백리입니다. 그는 사사(賜死)하라고 명이 ..

(얼레빗) 3237. 국권의 상징, “국새”, 언제부터 썼을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4. 국권의 상징으로 국가 문서에 사용되던 도장을 우리는 “국새(國璽)”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국새는 언제부터 썼을까요?. 《삼국사기》에는 “신라 남해왕 16년(서기 19) 북명(北溟) 사람이 밭을 갈다가 예 임금의 ..

(얼레빗) 3236. 세계 최대의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는 어디에 있을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3. 경상남도 고성은 우리나라 최초로 공룡 발자국이 발견된 곳입니다. 이곳은 중생대 백악기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 (천연기념물 제411호)로 양이나 숫자로 볼 때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곳이지요. 이곳 화석 산지는 다양한 퇴적..

(얼레빗) 3235. 황금나라 신라의 황홀한 금그릇 쓰임새는?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2. 황금의 나라 신라에는 많은 황금 유물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그 가운데 경주 황남대총의 금그릇은 보기만 해도 눈이 황홀한 보물입니다. 황남대총은 경주 제98호 고분이라고도 부르며, ..

(얼레빗) 3234. 서대문형무소에서 유관순과 함께한 여성독립지사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 “유관순 소녀의 위훈(偉勳) 천고에 빛날 순국혼, 금일 천안서 기념비 제막식” 이는 1947년 11월 27일 동아일보 기사로 천안에서 유관순 열사의 기념비 제막식을 알리는 기사입니다. 유관순..

(얼레빗) 3233. 찌그러진 듯하지만 그것이 아름다운 백자 달항아리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29. 일본에서 평생토록 우리 문화재를 수집해 온 고 정조문(1918~89) 선생은 1925년 일본에 건너가 갖은 고생 끝에 사업에 성공한 분입니다. 선생은 1949년 골동품상이 밀집해 있는 교토 산조(三..

(얼레빗) 3232. 부처님 진신치아사리와 능파교, 십바라밀석주의 건봉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26. 강원도 고성에 있는 건봉사는 6·25전쟁 전까지는 31본산의 하나였으나,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입니다. 520년(법흥왕 7) 아도(阿道)가 창건하고 원각사라 불렀지요. 758년(경덕왕 17) 발..

(얼레빗) 3231. 엽전 35냥에 혼인 관계를 파하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25. “애통하구나. 가슴이 미어진다. 부부유별(夫婦有別)은 사람이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 가운데 셋째로 큰 윤리인데, 무상하게도 나의 아내는 그동안 나와 함께 어려운 사람 속에서도 동고동락해왔으나 뜻하지 않게 오늘 아..

(얼레빗) 3230. 띠배를 만들어 바다에 띄우는 “위도띠뱃놀이”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24. “위도 띠뱃놀이”는 설날부터 정월대보름까지 벌어지는 마을굿의 하나로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大里)마을에 전승되는 놀이입니다.(중요무형문화재 제82-3호) 정월 초사흗날 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