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3

(얼레빗) 3250. 절 앞에 높다란 깃대, 당간을 보셨나요?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23.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들머리에 당(幢)이라는 커다란 깃발을 달아둡니다. 그러나 이 당을 걸어두는 것은 행사를 알릴 때뿐만이 아니라 절의 종파나 문파를 알리는 목적도 있었으며, 또 ..

(얼레빗) 3249.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자연유산 “한란”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22. 제주 한란은 한라산 남쪽 경사면인 서귀포시 지역 해발 250~600m 사이의 늘푸른나무(상록수림대) 숲속에 분포합니다. 제주 한란은 늘푸른잎을 가진 난과식물로서 잎의 너비가 1.3cm 안팎이고..

(얼레빗) 3248. 명기 매창의 아름다운 한시 “청계(聽鷄)”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21 瓊苑梨花杜鵑啼 아름다운 뜰에 배꽃은 피고 두견새 우는 밤이어라 滿庭蟾影更凄凄 뜰에 가득 쏟아지는 달빛은 처량하기만 하구나 想思欲夢還無寢 그리운 님 꿈에서나 만나볼까 했지만 ..

(얼레빗) 3247. 쇠를 녹여서 범종과 쇠제품을 만드는 장인, 주철장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8. 충청북도 진천에 가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종 제작사 성종사가 있습니다. 성종사에서는 최대 56톤 규모의 종을 만들 수 있다는데 단일 규모로는 세계에서 가장 큽니다. 이 성종사 대표로 53년째 종 하나만을 만들고 있는 ..

(얼레빗) 3246. 장가가고 시집가는 우리의 전통혼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7. 이제 바야흐로 꽃이 흐드러지고 혼례철이 돌아 왔습니다. 우리 전통의 혼례 절차는 혼례를 준비하는 단계, 혼례 당일의 예식, 혼례 예식 뒤의 마무리로 나눌 수 있지요. 그 가운데서 당일 예식은 크게 전안지례, 교배지례, ..

(얼레빗) 3245. 봉화 산골에 있는 “3겹까치구멍집”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6. 경북 봉화군 상운면 설매리에는 중요민속문화재 제247호 “봉화설매리3겹까치구멍집"이 있습니다. 까치구멍집이란 지붕 용마루의 양쪽 합각(지붕 위의 양옆에 ‘ㅅ’ 자 모양을 이루고 ..

(얼레빗) 3244. 조선시대 궁궐에서 빨래를 담당하던 세답방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5. 조선시대 궁궐에는 “세답방(洗踏房)”이란 곳이 있었습니다. 세답방은 옷이나 이불을 빠는 것은 물론 염색 · 다듬이질 · 다리미질까지 담당했던 곳을 이릅니다. 곧 궁궐 내 세탁소라..

(얼레빗) 3243. 고매서작, 고난과 힘든 시련을 견뎌낸 기쁨을 맞이하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4 모든 동식물들을 소재로 하는 그림 “화훼영모화(花卉翎毛畵)” 전시가 오는 3월 27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배움터 2층 디자인박물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공민왕..

(얼레빗) 3242. 앉은 채로 연주하는 국악기 “좌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1. 김홍도(金弘道)의 “단원 풍속도첩” 가운데 <춤추는 아이>라는 그림을 보면 장고 1명, 피리 2명, 젓대 1명, 그리고 해금 1명과 함께 앉아서 북을 치는 사람도 보입니다. 이 북은 좌고(座鼓)라 하는데 궁중음악이나 조선..

(얼레빗) 3241. 세기의 바둑 대결과 바둑의 역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3. 10. 어제 바둑천재 이세돌 9단과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가 대국을 펼쳐 바둑 애호가는 물론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계산과 수읽기에 능하다는 알파고와 “아직은 인간의 직관과 감각을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