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3

(얼레빗) 3272. 경기 시화호 화석지, 180여 개의 공룡알 화석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2. 경기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에 가면 천연기념물 제414호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華城 古井里 恐龍알化石 産地)”가 있습니다. 이곳 공룡알화석 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약 8,300만∼8,500만 년 전에 만들어진 퇴적층으..

(얼레빗) 3271. 한바탕 마을잔치로 벌이는 "동해안별신굿"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1. 예전에는 마을의 안녕과 풍년 또는 풍어를 빌기 위해 마을마다 굿을 했습니다. 그런 마을굿 가운데 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 동해안별신굿(東海岸別神굿)은 부산 동래로부터 강원도 고성에 이르는 동해안지역 일대에서 마..

(얼레빗) 3270. 오늘은 부부가 잠자리도 함께하지 않는 “곡우”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0. 오늘은 24절기의 여섯째. 봄의 마지막 절기로, 곡우(穀雨)입니다. 곡우란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 하여 붙여진 말이지요.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얼레빗) 3469. 봄은 보이는 것 밖에도 있다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19. 林華香不斷 숲 속에는 향기가 끊이지 않고 庭草綠新滋 뜰 풀은 새롭게 푸르름이 더해지지만 物外春長在 보이는 것 밖에 언제나 있는 봄은 惟應靜者知 오직 고요한 사람이라야 알 수가 있..

(얼레빗) 3268. 신라 때부터 왕실에서 쓰던 ‘왕골 제품’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18. “조선 농촌의 수공예품으로 멀리 태평양을 건너 미국으로 수출되는 수량이 날로 늘어 지금 조선 부업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완초(莞草, 왕골) 슬리퍼는 대대적으로 성가가 높아져 그 ..

(얼레빗) 3267. 조선시대 우리도 목장이 있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15. 우리는 목장하면 스위스 알프스 목장이나 미국 서부 목장을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런 서양 목장만큼 넓은 형태는 아니지만 조선시대에 소나 말을 기르는 목장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도에 목장을 그려 넣고 소와 말, 그..

(얼레빗) 3266. 사명, 서산, 기허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삼비(三碑)’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7. 경남 밀양에는 사명대사를 기리는 표충비(表忠碑)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1742년 10월 사명대사의 5대손인 남붕선사가 경상북도 경산에서 돌을 가져다가 현재의 자리(밀양시 무안면 무안리)에 세운 것입니다. 좌대를 포함..

(얼레빗) 3264. 용이 읊조리는 소리, 맑고 청아한 음악 수룡음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12. 용(龍)은 상상의 동물 가운데 하나로 몸은 거대한 뱀과 비슷한데 비늘과 네 개의 발을 가지며 뿔은 사슴에, 귀는 소에 가깝다고 합니다. 또 용은 상서로운 동물로 기린ㆍ봉황ㆍ거북과 함..

(얼레빗) 3262. 세종임금, 벼락이 치자 해괴제를 지내고 사면령을 내리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8. 2014년 사망원인 통계에서 사고사 가운데 교통사고로 죽은 것은 9위인데 2013년에 견줘 조금 줄었습니다. 그런데 자동차나 기차, 그리고 비행기가 없었던 조선시대에 교통사고는 배가 가라앉아 죽은 것 말고는 거의 없었을 ..

(얼레빗) 3261. 절벽에 새겨진 4m “개령암터마애불상”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7. 남원에 가면 바위에 새겨진 12구의 불상이 있습니다. 보물 제1123호로 지정된 “개령암터마애불상무리”가 바로 그것이지요. 지리산 정령치(鄭嶺峙)에 연이은 고리봉 아래 개령암터 뒷 절벽(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산215)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