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레빗) 3316. 오늘은 만주 호랑이 김동삼 선생 태어나신 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3. “나라 없는 몸 무덤은 있어 무엇 하느냐. 내 죽거든 시신을 불살라 강물에 띄워라. 혼이라도 바다를 떠돌면서 왜적이 망하고 조국이 광복되는 날을 지켜보리라.” 이는 만주의 호랑이로 불리는 김동삼 선생이 마지막 남..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24
(얼레빗) 3315. 동서로 뛰어다니며 골동 서화를 수집했던 오세창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2. “근래에 조선에는 전래의 진적서화(珍籍書畵)를 헐값으로 방매하며 조금도 아까워할 줄 모르니 딱한 일이로다. 이런 때 오세창씨 같은 고미술 애호가가 있음은 경하할 일이로다. 10수년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24
(얼레빗) 3314. 군산에서 무더기로 발견된 초식공룡 발자국 화석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1. 2년 전인 2013년 7월 군산시 산북동 서흥2구 마을 가까운 도로 공사 현장에서 공룡 발자국 수십 개가 무더기로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이에 같은 해 12월 군산시에서는 학술 용역..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21
(얼레빗) 3313. 산골짜기 물가에 피는 수줍은 노랑물봉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0. “건드리지 말아요 겨우 겨우 불러 모은 노랑나비 포르릉 날아버리면 어떡할래요 깊은 산 속 청정한 물가에 터 잡은 까닭 알고 있나요?“ 김승기 시인의 “노랑물봉선“ 시 일부입니다.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20
(얼레빗) 3312. 괴석과 난초가 어우러진 흥선대원군의 <석란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10. 사군자 가운데 대나무가 남성적이라면 난초는 여성적이며 특히 명문가의 귀인을 뜻한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는 왕비의 난전(蘭殿), 미인의 침실을 난방(蘭房)이라고 하는 데서도 알 수 있지요. 중국의 《본초경》에 난초를..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17
(얼레빗) 3311. 고조선의 양잠과 중요무형문화재 명주짜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16. 명주는 흔히 비단이라 하는 것으로 누에고치에서 풀어낸 명주실로 짠 무늬가 없는 옷감입니다. 그런데 명주는 뽕나무를 재배하고 누에를 치는 일부터 시작되지요. 누에를 키워 고치를 만드는 일 곧 양잠은 그 기록이 고조..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16
(얼레빗) 3310. 책가도 그림의 으뜸 이형록 선생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15. 장식화인 책거리그림[冊架圖]을 잘 그리는 으뜸화가로 알려진 이형록(李亨祿, ? ~ 1808)은 조선 말기의 도화서 화원 소속으로 민화풍의 그림을 잘 그렸습니다. 그의 가계를 보면, 증조부..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15
(얼레빗) 3309. 고운 무덤서 출토된 옷들, 복식사에 매우 중요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14.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는 중요민속문화재 제239호 “고운묘 출토유물(高雲墓 出土遺物)”이 있습니다. 이 유물들은 1986년 9월 문중에서 무덤을 옮기다가 발견되었는데 조선 중기 호남사림..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14
(얼레빗) 3308. 노비 정초부, 주인의 스승이며 벗이었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13. 몇 년 전 성균관대학교 안대희 교수는 조선 정조 때 노비 정초부(鄭樵夫, 1714∼1789)의 한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를 발굴했습니다. 이 《초부유고》는 고려대도서관에 필사본 형태로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13
(얼레빗) 3307. 못생긴 채제공, 영조정조의 신임을 한 몸에 받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10. 정조 개혁의 중심에 섰던 인물 번암 채제공의 초상을 보셨나요? 번암의 초상을 보면 살짝 곰보와 사팔뜨기 눈까지 숨기지 않고 그려 그가 못 생긴 인물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거의 “죽기살기”라 할 만큼 정확하게 그리..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