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레빗) 3283. 군수를 마치고 돌아오는 양관, 나루서 짐 수색 당하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9. “이 그림의 뜻을 아느냐?” 성종임금이 지방 수령으로 나갈 신하에게 묻습니다. 이에 안다고 답하자 성종은 “그럼 그대로 행하라. 조정의 녹을 먹는 벼슬아치라면 당연히 백성을 어여삐..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5.09
(얼레빗) 3282. 배꽃이 떨어질 때, 매창의 “이화우 흩날릴 제”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6. 전북 부안군 부안읍 매창공원에 가면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 “이매창묘(李梅窓墓)”가 있습니다. 조선 중기의 서녀로 태어난 황진이, 허난설헌과 함께 조선 3대 여류시인의 하나로 불리는 매창(李梅窓, 조선 선조 때의 여..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5.09
(얼레빗) 3281. 입하 때 고봉으로 담은 쌀밥처럼 피는 이팝나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5.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일곱째 입하(立夏)입니다. 입하는 '여름(夏)에 든다(入)'는 뜻으로 푸르름이 온통 뫼(산)와 가람(강)을 뒤덮어 여름이 다가옴을 알리는 절기지요. 입하는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5.09
(얼레빗) 3280. 흙을 파먹고 자식을 팔고, 조선시대 백성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4. “다북쑥을 캐네 / 다북쑥을 캐네 / 다북쑥이 아니라 새발쑥이네 / 양떼처럼 떼를 지어 저 산등성이를 넘어가네 / 푸른 치마 붉은 머리 허리 굽혀 쑥을 캐네 / 다북쑥을 캐어 무얼 하나 눈물..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5.04
(얼레빗) 3279. 가거도 어민들이 멸치잡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3. 민요는 백성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난 노래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노래입니다.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일풍속놀이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역이나 부르는 사람의 취..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5.03
(얼레빗) 3277. 윤봉길 의사, 의거일 전 두 아들에게 쓴 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2. “너희도 만일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 반드시 조선을 위해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 태극에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 한 잔 술을 부어 놓으라 /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 없음을 / 슬퍼하지 말아라 /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4.29
(얼레빗) 3276. 반쯤 핀 연꽃이 새겨진 법주사 석련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8. 충북 보은군 속리산에는 신라시대의 절인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法住寺)가 있습니다. 법주사에는 국보가 3점, 보물이 12점이나 있는 대단한 절이지요. 그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어느 절에서도 보기 어려운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4.28
(얼레빗) 3275. 건강을 위해 옷에 몸을 맞추는 옷, 한복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7.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디자인을 한 다음 먼저 마름질(재단)이라는 옷감을 자르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 옷감을 마름질하는 방법은 크게 입체재단과 평면재단으로 나눕니다. 입체재단은 서..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4.27
(얼레빗) 3274. 발효주와 소주의 장점을 모은 술, 보성 강하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6. 우리 전통술은 크게 쌀 따위 곡식과 누룩 그리고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키는 술인 발효주(醱酵酒, 곡주-穀酒)와 발효주를 증류하여 알코올도수가 높고 무색투명한 술인 소주(燒酒)로 나..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4.26
(얼레빗) 3273. 변상벽의 묘작도, 70살 노인에게 기쁜 소식을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25. “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 / 고운 봄의 향기가 어리우도다 / 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르도다 /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 포근..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