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3

(얼레빗) 3293. 선사시대 돌도끼가 벼락도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23. 연산군일기 연산 11년(1505년) 5월 8일 기록에 보면 “어필을 내려 ‘뇌부(雷斧) 40, 뇌창(雷槍) 40을 서울과 시골에서 널리 찾아 바치라.’라 하였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여기서 뇌부는 구..

(얼레빗) 3292. 오늘은 소만, 대나무기 누래지는 “죽추” 계절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20. 오늘은 24절기 여덟째 “소만(小滿)”입니다. 소만이라고 부른 것은 이 무렵에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자라 온 세상에 가득 차기[滿] 때문입니다. 또 이때는 이른 모내기를 하며, 여러 가지 밭작물을 심지요. 소만에..

(얼레빗) 3291. 미륵보살이 생각하는 모습, 미륵보살반가사유상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9. 우리 국가문화재 가운데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이 있습니다. 이 유물 이름은 반가부좌의 준말인 '반가(半跏)'와 생각하는 불상이라는 뜻의 '사유상(思惟像)'을 합친 말로, 의자 위에 앉아 오..

(얼레빗) 3290. 죽책, 왜 종이가 아닌 대나무에 글을 썼을까?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8 "유세차(維歲次, 제문의 첫머리에 관행적으로 넣는 말) 을해년 6월 22일 갑자에 국왕은 머리를 조아리며 책문(冊文)을 올립니다. 시호를 ‘경혜(敬惠)’라 올리오니 삼가 바라건대, 작은 정..

(얼레빗) 3289. 편견 없는 역사 기록을 써내려 한 《연려실기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7 건국대학교 역사학과 신병주 교수는 “역사학자라면 누구나 꿈꾸는 것이 있다. 자신이 살아온 한 시대의 역사를 객관적이면서 실증적으로 정리하여 후세에 길이 읽힐 역사서를 저술하는 ..

(얼레빗) 3288. 5월은 누에를 살찌게 하는 뽕나무 계절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6. 뽕나무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좋아 온 나라 어디서나 잘 자라며 6월에 꽃이 피고 열매로 오디가 열려 어린 시절 군것질이 없던 때는 이것을 따먹어서 입가가 새까맸던 경험을 한 사람들도..

(얼레빗) 3287. 석공 고달의 전설이 깃든 여주 '고달사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3.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에 가면 통일신라시대인 764년(경덕왕 23)에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적 제382호로 지정 면적이 5만 8,995㎡에 달하는 '고달사터'가 있습니다. 이곳에 남아 있는 유적·유물을 통하여 신라시대에 창..

(얼레빗) 3286. 훈민정음 창제에 큰 공을 세운 정의공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2. 며칠 뒤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임금이 태어나신 날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도 훈민정음 창제에 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많습니다. 특히 훈민정음은 세종임금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창제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

(얼레빗) 3285. 남녀교제의 매개성전인 과자점의 번창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1. “조선사람의 상업이 해마다 조잔하야가는 이판에도 유독 과자점만은 달달이 번창하야 팔이기도 잘하고 따러서 수효도 작구 늘어간다는데 (중간 줄임) 근래에 학생들은 공부의 눈보다 ..

(얼레빗) 3284. 수천 년을 날아온 화살, 이를 만드는 궁시장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0 지난 2011년 개봉한 영화 “최종병기 활”을 보셨나요? 이 영화는 제48회 대종상 영화제(2011년) 남우주연상(박해일)을 비롯하여 제32회 청룡영화상(2011년) 남우주연상(박해일)과 남우조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