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66

(얼레빗) 3328. 말다래에 그려진 천마, 왕릉의 이름 되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11. 말“다래”가 무엇인지 아십니까? 말다래란 말을 탄 사람의 옷에 흙이 튀지 아니하도록 가죽 같은 것을 말의 안장 양쪽에 늘어뜨려 놓은 기구를 말합니다. 그런데 황남대총을 발굴하기에..

(얼레빗) 3327. 한복 저고리, 소매 솔기를 뜯고 벗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8. “일찍이 어른들의 말을 들으니, 옛날에는 여자 옷을 넉넉하게 만들어서 시집올 때 입었던 옷을 죽어서 염할 때에도 쓸 수 있었다고 한다. (중간 줄임) 그런데 지금은 그렇지가 않아서 새옷을 시험삼아 입어 보았더니, 소매..

(얼레빗) 3326, 오늘은 소서(小暑), 비가 많이 내리면 기청제 지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7.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열한째에 해당하는 소서(小暑)입니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지요. 그리고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은 이때쯤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기 때문..

(얼레빗) 3325. 숱한 과정을 거쳐 그릇을 빛나게 하는 ‘칠장(漆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6. "칠장(漆匠)은 7명이니 2명을 더하고, 시통장(矢筒匠)은 1명이니 8명을 더하고, 궁현장(弓絃匠)은 2명이니 2명을 더하고, 아교장(阿膠匠)은 2명이니 2명을 더하고.” 《세종실록》 16년 (1434) 6..

(얼레빗) 3324. 조선시대 궁중 식생활이 담긴 책은?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5. "근일에 와서 소찬(素饌) 하시는 것이 예문(禮文)에 제도가 없을 뿐 아니오라, 또 일기가 춥고 기후가 고르지 못하온데 더구나 옥체에 오랜 병환이 계시고 슬퍼하심이 과도하시온데, 오랫..

(얼레빗) 3323. 멸종희귀종인 ‘새매’ 남산에서 둥지를 틀었습니다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4. 서울 한복판 남산공원에서 천연기념물 323호이자 멸종위기종 야생동물2급으로 분류된 새매(Eurasian sparrowhawk)의 번식이 확인되었습니다. 새매는 매목 수리과의 맹금류로 그동안 서울과 같은..

(얼레빗) 3322. 관서 지방의 첫 관문 고양 벽제관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1. “새벽에 임금이 인정전(仁政殿)에 나오니 백관들과 인마(人馬) 등이 대궐 뜰을 가득 메웠다. 이날 온종일 비가 쏟아졌다. 상과 동궁은 말을 타고 중전 등은 뚜껑 있는 교자를 탔었는데 홍제원(洪濟院)에 이르러 비가 심해..

(얼레빗) 3319. 교토 김리박 시인의 시조집 《울 핏줄은 진달래》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8. “김리박 시인의 일본 생활은 올해로 무려 72년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어릴 때 배운 우리말글을 많이 잊었거나 서투를 것인데 그렇지 않다. 오히려 한국인보다 더 정확한 언어를 구..

(얼레빗) 3318. 임금과 왕비가 공주에게 보낸 《신한첩 - 신한첩 건》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7. 국립청주박물관에는 보물 제1629-1호 《신한첩 - 신한첩 건(宸翰帖 - 宸翰帖 乾)》이 있습니다. 이는 효종(孝宗, 1619~1659), 현종(顯宗, 1641~1674), 인조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1688), 효종비 ..

(얼레빗) 3317. 독특한 오리 모양 청자주전자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24.. 도자기나 향로에 동물이나 사물의 모습을 본떠 꾸민 것을 상형청자(象形靑磁)라고 합니다. 그 상형청자들에 등장하는 것들은 주로 오리, 사자, 사람, 용, 어룡 등이 있는데, 연적이나 주전자, 베개, 향로 등의 다양한 형태..